분류 전체보기 415

모던 자바 인 액션 내용 정리

[CHAPTER 1] 자바 8,9,10,11 :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자바 8 : 간결한 코드,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쉬운 활용 - 스트림 API - 메서드에 코드를 전달하는 기법 - 인터페이스의 디폴트 메서드 Behavior parameterization(동작 파라미터화) - 자바 8 이전 상황에서는 익명 클래스를 이용해서 동작 구현 공짜로 병렬성을 얻을 수 있다. 스트림 파이프라인을 이용해 입력 부분을 여러 CPU 코어에 쉽게 할당 할 수 있다. 스트림 메서드로 전달하는 코드는 다른 코드와 동시에 실행하더라도 안전하게 실행도리 수 있어야한다. 다른 코드에 동시에 실행하더라도 안전하게 실행 할 수 있는 코드를 만들려면 공유된 가변 데이터(shared mutable data)에 접근하지 않아야한다...

JAVA 2020.07.21

Java Inner Class

내부클래스는 클래스 내에 선언된 클래스다. 클래스에 다른 클래스를 선언하는 이유는 두 클래스가 서로 긴밀한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클래스들의 논리적인 그룹을 나타낼 때 쓴다. 주로 model 객체에서 상위모델과 하위모델이 있을 때 쓰는 것 같다. (Static Nested Class 를 많이 씀) 향상된 캡슐화 좋은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https://doublesprogramming.tistory.com/158 자바 - 내부 클래스(Inner class) 8_inner_class.md 본 내용은 자바의 정석 3rd Edition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기 목적이기 때문에 내용상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내부 클래스? 내부클래스는 doublesprogramming...

JAVA 2020.05.29

Java 초기화

의문 : model에서 선언한 변수들에 초기화를 해야하나? public class TestModel { private String test1; private String test2 = ""; } 모델 안에서 클래스 선언을 했을 때 test1은 null로 나타남. DB에 넣어 줄 때 null로 넣지 않으려고 사용함! 미미하지만 성능에는 좋지 않음 https://wakestand.tistory.com/92 자바 초기화는 무슨 뜻이고 왜 해야할까? 자바 초기화로 검색을 해 보면 생성자와 묶어서 많이 나오는데 초기화는 생성자(Constructor)에서 변수 값 주는게 초기화인가? 이런 생각이 든다 물론 생성자에서 변수에 값 주는것도 초기화는 맞�� wakestand.tistory.com https://abydo..

JAVA 2020.05.28

if else case 성능차이

https://thinkpro.tistory.com/m/132 if문은 종적인 관계로 비교하기 때문에 조건이 많아질수록 실행 속도는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비교 구문 중에 byte, short, chart, int 자료형의 데이터 값에 대한 비교에서는 횡적인 관계로 비교 할 수 있는 구문을 내놓게 되었고 그것이 바로 switch ~ case 문이다. 이것은 컴파일 시에 그 위치를 jvm이 기억하기 때문에 값이 대입되는 즉시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JAVA 2020.04.29

HikariCP

- 커넥션 풀을 너무 크게 해놓으면 당연히 메모리 소모가 클것이고, 적게 해놓으면 커넥션이 많이 발생할 경우 대기시간이 발생할 것이다. 즉 웹 사이트 동시 접속자수 등 서버 부하에 따라 크기를 조정해야 할것이다. - HikariCP설정의 시간 단위는 ms autoCommit auto-commit설정 (default: true) connectionTimeout pool에서 커넥션을 얻어오기전까지 기다리는 최대 시간, 허용가능한 wait time을 초과하면 SQLException을 던짐. 설정가능한 가장 작은 시간은 250ms (default: 30000 (30s)) idleTimeout pool에 일을 안하는 커넥션을 유지하는 시간. 이 옵션은 minimumIdle이 maximumPoolSize보다 작게 ..

기타내용 2020.03.17

[javascript] null / undefined / empty

javascript null,undefined,empty 차이 undefined는 자료형이 결정되지 않은 변수이고, null은 자료형은 객체인데 비어있는 변수 undefined 변수를 선언만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음. 즉, 자료형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선언하지 안흔 변수도 콘솔이나 기타 메세지에는 undefined라고 뜨지만 undefined라는 값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전역 undefined 속성은 undefined 원시 값을 나타내며, JavaScript의 원시 자료형 중 하나입니다. undefined는 전역 객체의 속성입니다. 즉, 전역 스코프에서의 변수입니다. undefined의 초기 값은 undefined 원시 값입니다.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는 undefined 자료형입니다. 또한 메서드와 선..

javascript & jQuery 2020.03.13
반응형